크레이턴 에이브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레이턴 에이브럼스는 미국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1914년 매사추세츠주에서 태어나 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하고 기갑 병과에서 복무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뛰어난 전차 지휘관으로 명성을 얻었다. 한국 전쟁에서는 참모장으로 활동했고, 베트남 전쟁에서는 미군 최고사령관을 역임하며 베트남화 정책을 추진했다. 1972년 육군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징병제 폐지 및 지원제 전환을 추진했다. 에이브럼스는 1974년 폐암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M1 에이브럼스 전차가 제작되었다. 그는 한국 전쟁 참전 공로로 보국훈장을 받았으며, 그의 아들 로버트 브루스 에이브럼스는 주한미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 - 마거리트 히긴스
마거리트 히긴스는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주요 분쟁 지역을 취재하고 한국 전쟁 보도로 여성 최초 퓰리처상을 수상한 미국의 종군 기자이자 작가이다. - 미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 - 윌리엄 F. 딘
윌리엄 F. 딘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육군 중장으로, 남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독일군 포로를 잡는 전공과 대전 전투에서의 용맹함으로 명예훈장을 받았으며, 한국 전쟁 중 북한군 포로로 억류되었다가 석방 후 영웅으로 귀환, 예편 후 샌프란시스코에 안장되었고 제주 4.3 사건 당시 미군정의 역할도 수행했다. - 미국의 장군 - 윌리엄 헨리 해리슨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인 윌리엄 헨리 해리슨은 미영 전쟁 영웅으로, 하원의원, 상원의원, 인디애나 준주 지사를 역임한 후 제9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취임 한 달 만에 폐렴으로 사망하여 최단 기간 재임 대통령으로 기록되었고, 그의 죽음은 미국 대통령직 승계에 대한 헌법적 논쟁을 야기했다. - 미국의 장군 - 앤드루 잭슨
앤드루 잭슨은 미국의 제7대 대통령으로서, 군사적 성공을 통해 국민적 영웅이 되었고, 강력한 대통령 권한 행사, 제2 미국 은행 폐지, 인디언 강제 이주 정책 추진 등 잭슨 민주주의 시대를 열었으나 인종차별적 정책에 대한 논란 또한 존재하는 인물이다. - 스프링필드 (매사추세츠주) 출신 - 존 애슈턴
존 애슈턴은 《비벌리힐스 캅》에서 존 태거트 형사 역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활동한 미국의 배우로, 2024년에 76세로 사망했다. - 스프링필드 (매사추세츠주) 출신 - 커트 러셀
커트 러셀은 1951년생 배우로,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액션 배우로 입지를 굳히며 다양한 장르의 영화에 출연했고, 골디 혼과 오랜 기간 연인 관계를 유지하며 자유지상주의적 성향을 보인다.
크레이턴 에이브럼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14년 9월 15일 |
출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 |
사망일 | 1974년 9월 4일 (59세) |
사망지 | 미국 워싱턴 D.C. 월터 리드 육군 병원 |
안장지 | 알링턴 국립묘지 |
별칭 | 없음 |
군사 복무 | |
소속 국가 | 미국 |
군종 | 미국 육군 |
복무 기간 | 1936년 – 1974년 |
최종 계급 | 대장 |
지휘 | 육군 참모총장 남베트남 군사 원조 사령부 총사령관 제5군단 사령관 제3기갑사단 장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
상훈 | 수훈 십자장 (2회) 국방부 수훈 훈장 (2회) 육군 수훈 훈장 (5회) 공군 수훈 훈장 은성 훈장 (2회) 공로 훈장 (2회) 동성 훈장 합동 근무 공로 훈장 |
가족 | |
자녀 | 준장 크레이턴 W. 에이브럼스 3세 (아들) 존 N. 에이브럼스 대장 (아들) 로버트 B. 에이브럼스 대장 (아들) |
2. 생애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에서 철도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나 애거왐에서 자랐다.[17] 1936년 줄리아 베르테 하비와 결혼하여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다.[18] 그녀는 알링턴 레이디스를 설립하고 인도주의적 사업에 헌신했다.[18] 세 아들 크레이턴 윌리엄스 에이브럼스 3세, 존 넬슨 에이브럼스, 로버트 브루스 에이브럼스는 모두 육군 장성으로 진급했으며, 세 딸은 모두 육군 장교와 결혼했다.
에이브럼스는 베트남 전쟁 복무 중 감리교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했다.[19] 독실한 시가 애연가였던 그는 월터 리드 육군 의료 센터에서 폐암 수술 합병증으로 60세 생일을 11일 앞두고 5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그는 부인 줄리아와 함께 알링턴 국립묘지에 묻혔다.[20]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1914년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에서 철도차량 정비공이자 농부였던 아버지에게서 태어났다.[3][4] 1936년 웨스트포인트를 졸업했는데, 276명 중 185등이었다.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가 그의 동기였다. 같은 해 캐나다인인 줄리아 에이브럼스(1915 ~ 2003)와 결혼하여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다. 그녀는 '알링턴 레이디즈'를 설립하여 인도주의적 문제에 대해 많은 시간 몰두했다. 세 아들 모두 육군 장성이 되었으며, 딸들은 모두 육군 장교와 결혼했다. 셋째 아들 로버트는 2019년 6월 현재 주한 미군 사령관이다.1936년부터 1940년까지 제1기병사단에서 복무했으며, 1939년에 중위로, 1940년에는 임시 대위로 진급했다. 기병과 발전 초기에 장갑 사관이 되어, 1940년 제1기갑사단의 전차 중대장을 맡았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에이브럼스는 제4기갑사단에서 연대 부관(1941년 6월 ~ 1942년 6월), 대대 지휘관(1942년 7월 ~ 1943년 3월), 제37기갑연대 선임 장교(1943년 3월 ~ 1943년 9월)를 역임했다. 1943년 9월, 사단 재편성에 따라 제37전차대대가 창설되었고, 에이브럼스는 1945년 3월까지 이 대대를 지휘하며 사단의 전투 사령부 B를 이끌었다. 그는 1943년에 임시 소령, 같은 해 중령으로 진급했다.이 기간 동안 에이브럼스의 부대는 제4기갑사단 및 제3군의 선봉으로 활약하며 많은 전투에 참여했다. 그는 뛰어난 전차 지휘관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조지 S. 패튼 장군은 "나는 육군 최고의 전차 지휘관이라고 일컬어지지만, 나에게는 한 명의 동료가 있다. 에이브 에이브럼스. 그는 세계 챔피언이다."라고 칭찬했다.[5] 에이브럼스는 벌지 전투에서 바스토뉴에 포위된 제101공수사단을 구원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45년 4월, 에이브럼스는 임시 대령으로 진급했으나, 종전 후 중령으로 강등되었다. 같은 해 4월 23일, 윌 랭 주니어는 라이프지에 "에이브 대령(Colonel Abe)"이라는 제목으로 그의 전기를 기고했다.
2. 3. 한국 전쟁
에이브럼스는 유럽 주둔 및 육군 전쟁 대학 입학으로 인해 한국 전쟁에 늦게 참전했다.[1] 그는 1953년부터 1954년까지 한반도에서 제1군단, 제10군단, 제9군단의 참모장을 차례로 역임했다.[3][6]2. 4. 베트남 전쟁 이전
1956년 펜타곤에서 예비군 참모 부장으로 임명되어 준장으로 진급했다.[6] 1959년부터 1960년까지 제3 기갑사단의 부사단장을 지냈으며, 1960년 소장으로 진급한 후에는 사단을 지휘했다.(1962년까지)[6] 1962년 펜타곤으로 전출되어 작전 참모 부장으로 근무했으며, 이 기간 동안 제임스 메러디스의 인종 차별이 있던 미시시피 대학교 입학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된 군대를 감독하는 육군 참모총장의 대표로 활동했다.[6]1963년 5월 시민권 운동 당시 앨라배마주 버밍햄에서도 비슷한 역할을 수행했다.[6] 이러한 역할을 수행한 후, 에이브럼스는 연방군의 국내 신속 투입을 위한 보다 일관된 정책을 요구했다. 1963년 5월, 합동 참모 본부는 이러한 준비를 공식화하여 타격 사령부에 "강화된 중대에서 최대 15,000명의 병력에 이르는 즉시 투입 가능한 맞춤형 육군 병력을 이동시킬 준비를 갖출 것"을 지시했다.[6]
1963년 중장으로 진급하여 1964년까지 유럽에서 제5 군단을 지휘했다.
2. 5. 베트남 전쟁
1964년 대장으로 승진한 에이브럼스는 육군참모차장으로 지명되었다. 베트남 전쟁 상황이 악화되자, 1967년 5월 육군사관학교 동기였던 윌리엄 웨스트모얼랜드 장군의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0] 1968년 6월, 웨스트모얼랜드가 육군참모총장이 되면서 에이브럼스는 그의 뒤를 이어 베트남 주둔 미군 최고사령관(COMUSMACV)이 되었다.[14]에이브럼스는 언론 노출을 즐겨하던 전임자와 달리 차분하게 임무를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0] 루이스 소리는 에이브럼스가 베트남 주민들의 마음과 정신을 얻는 데 중점을 둔 대게릴라전을 수행했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CIA 관계자 윌리엄 콜비가 지휘하는 민간 작전 및 혁명 개발 지원이라는 군-민 합동 조직이 운영되었다.[10] 그러나 ''Men's Journal''에 인용된 한 대령에 따르면, 에이브럼스 부임 이후에도 베트남에서 큰 변화는 없었다고 한다.[10]
1968년 대선 이후 취임한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닉슨 독트린을 통해 '베트남화' 정책을 추진했다. 이는 미군의 개입을 점차 축소하고 전쟁을 남베트남에 맡기는 것이었다.[13] 에이브럼스는 이 정책에 따라 1969년 초 543,000명이었던 미군 병력을 1972년 6월 49,000명으로 감축했다.[12]
1970년에는 캄보디아 침공을 지휘했다. 닉슨 대통령은 에이브럼스를 높이 평가하며 그의 조언에 자주 의존했다.[13] 1972년 남베트남군은 미국의 항공 지원을 받아 북베트남군의 부활절 공세를 격퇴했다. 그러나 전쟁 장기화로 미국의 여론은 악화되었다. 에이브럼스는 1972년 6월 프레데릭 웨이앤드 장군에게 사령관직을 이임했다.[14]
2. 6. 육군 참모총장
1968년 대선 이후 취임한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닉슨 독트린에서 표명한 "베트남화 정책"을 추진했다.[15] "베트남화"란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군의 관여를 점차 축소하고, 전쟁을 남베트남 정부군에게 맡기는 것이었다.에이브럼스는 1972년 6월 리처드 닉슨에 의해 미국 육군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으나,[15] 북베트남에 대한 무단 폭격 혐의와 관련된 정치적 파장으로 인해 10월까지 미국 상원의 인준을 받지 못했다.[14] 또한 의회가 캄보디아 전쟁에 대한 행정부의 입장에 의문을 제기하며 인준을 지연시켰다는 보고도 있다. 이 기간 동안 에이브럼스는 프로젝트 볼라(Project VOLAR)로도 알려진 완전 지원 육군으로의 전환을 시작했다.
1974년 1월, 에이브럼스는 레인저 대대 창설을 지시했다. 제1대대(레인저), 제75보병연대가 7월 1일 조지아주 포트 스튜어트에 투입되었고, 제2대대(레인저), 제75보병연대가 10월 1일에 창설되었다. 제3대대, 제75보병연대(레인저)와 제75보병연대(레인저) 사령부 및 본부 중대는 10년 후인 1984년 10월 3일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기를 수여받았다. 제75레인저연대는 1986년 2월에 지정되었다.[16] 현대 레인저 대대는 에이브럼스와 그의 헌장에 빚을 지고 있다.
에이브럼스는 폐암으로 1974년 9월 4일 사망할 때까지 참모총장으로 복무했다.
3. 유산
M1 에이브럼스 주력 전차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5] 그는 병사에 대한 헌신, 전쟁 대비 태세에 대한 강조, 개인의 고결함에 대한 주장으로 유명했다.[25] 그는 알링턴 국립묘지에 아내와 함께 안장되었다.
4. 가족 관계
에이브럼스는 1936년 줄리아 베르테 하비(1915년 ~ 2003년)와 결혼했다.[18] 그녀는 알링턴 레이디스 육군 단체를 설립했고 인도주의적 사업에 헌신했다.[18]
에이브럼스 부부는 세 아들과 세 딸을 두었다.
구분 | 이름 | 비고 |
---|---|---|
아들 | 크레이턴 윌리엄스 에이브럼스 3세 | 퇴역 준장 |
아들 | 존 넬슨 에이브럼스 | 장군 |
아들 | 로버트 브루스 에이브럼스 | 장군, 2019년까지 주한 미군 사령관 역임 |
딸 | 노엘 브래들리 | 육군 장교와 결혼 |
딸 | 잔 데일리 | 육군 장교와 결혼 |
딸 | 엘리자베스 도일 | 육군 장교와 결혼 |
5. 대한민국과의 관계
크레이턴 에이브럼스는 한국 전쟁에 늦게 참전하였으나, 1953년부터 1954년까지 제1군단, 제10군단, 제9군단의 참모장을 역임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
그의 셋째 아들 로버트 브루스 에이브럼스 대장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주한미군 사령관을 역임하여, 에이브럼스 가문과 대한민국의 특별한 인연을 보여주었다.
에이브럼스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보국훈장 통일장과 보국훈장 국선장을 수여받았다.
참조
[1]
뉴스
Army Chief Abrams dies at 59, directed U.S. forces in Vietnam
https://www.nytimes.[...]
1974-09-04
[2]
뉴스
Gen. Abrams dead at 59
https://news.google.[...]
1974-09-04
[3]
서적
Harper Encyclopedia of Military Biography
HarperCollins
[4]
뉴스
Bruce Palmer Jr., 87; Led Forces in Vietnam
https://www.nytimes.[...]
2000-10-18
[5]
간행물
Nation: Pattern's Peer
http://www.time.com/[...]
1967-04-14
[6]
서적
The Role of Federal Military Forces in Domestic Disorders, 1945–1992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7]
간행물
Third Armored's General Abrams
https://content.time[...]
1961-10-13
[8]
간행물
General Creighton Abrams
https://content.time[...]
1968-04-19
[9]
간행물
General Creighton Abrams
https://content.time[...]
1971-02-15
[10]
웹사이트
Is This Any Way to Fight a War?
http://www.mensjourn[...]
2010-12
[11]
서적
The U.S. Army in Vietnam Public Affairs The Military and the Media, 1968–1973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2]
서적
Withdrawal: Reassessing America's Final Years in Vietnam
Oxford University Press
[13]
문서
Mr. Kissinger/The President (tape)
http://www2.gwu.edu/[...]
[14]
서적
The U.S. Army in Vietnam Public Affairs The Military and the Media 1968–1973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5]
뉴스
Army's top job goes to Abrams
https://news.google.[...]
1972-06-21
[16]
웹사이트
Heritage – United States Army Rangers
http://www.army.mil/[...]
2016-05-12
[17]
웹사이트
Maj.Gen. Creighton Abrams - 3rd Armored Div. Commander 1960-62
http://3ad.com/histo[...]
2014-02-18
[18]
웹사이트
Special lady for each Arlington soldier-Volunteers honor troops and make sure none is buried alone
http://www.nbcnews.c[...]
NBC News.com
2010-05-30
[19]
웹사이트
The Way of the Soldier: Remembering General Creighton Abrams
https://www.fpri.org[...]
2020-10-07
[20]
문서
Burial Detail: Abrams, Creighton W (Site 21, Grave S-33)
https://ancexplorer.[...]
[21]
웹사이트
General Orders No. 32
https://armypubs.arm[...]
2023-02-06
[22]
웹사이트
Creighton Abrams
https://valor.milita[...]
2023-02-06
[23]
간행물
Uncommon Allies: U.S. Army Recipients of Soviet Military Decorations in World War II
Teufelsberg Press
[24]
서적
Official Register of Commissioned Officers of the United States Army, 1948
1948
[25]
웹사이트
創世記(口語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